Ecosyste.ms: Awesome

An open API service indexing awesome lists of open source software.

Awesome Lists | Featured Topics | Projects

https://github.com/pjok1122/travel-community

개인 프로젝트인 여행 커뮤니티입니다.
https://github.com/pjok1122/travel-community

community spring spring-boot travel

Last synced: about 2 months ago
JSON representation

개인 프로젝트인 여행 커뮤니티입니다.

Awesome Lists containing this project

README

        

# Travel-Community V1.0

여행에 대한 자료를 공유하고, 토론하는 커뮤니티입니다.

## 프로젝트 시연 영상

[![동영상](https://img.youtube.com/vi/D_vpl5GnkeE/0.jpg)](https://youtu.be/D_vpl5GnkeE)

## 실행
`docker run -p 3306:3306 --name mysql_boot -e MYSQL_ROOT_PASSWORD=1 -e MYSQL_DATABASE=springdb -e MYSQL_USER=yjhn0715 -e MYSQL_PASSWORD=1234 -d mysql`

## 기술스택

- `Spring boot` Version 2.2.4
- `Java` Version 1.8
- `Maven`
- `Spring Framework` Version 5.2.3
- `Thymeleaf` Version 3.0.11
- `Junit` Version 4.12
- `Mybatis` Version 2.1.1
- `Flyway` Version 6.0.8
- `Mysql` Version 8.0.19
- `lombok` Version 1.18.10


- `javascript`
- `Bootstrap` Version 4.4.1
- `jQuery` Version 3.4.1
- `Summernote` Version 0.8.16


- `github`

## 데이터베이스 구조

![erd](./images/erd.png)

## 기능 구현

### 회원 정보 저장

Spring security를 사용하지 않고, 직접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구현했습니다.

- `패스워드`를 원문 그대로 저장하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. 따라서 암호화를 하거나 해시화를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 저는 `SHA-256` 해시 알고리즘을 이용해 패스워드를 저장했습니다.

- 서로 다른 유저가 동일한 패스워드를 사용할 경우, `SHA-256`의 결과도 동일합니다. 이는 `통계적 공격`에 이용될 여지가 있습니다. 따라서 저는 `Salt`라는 난수를 생성하여 동일한 패스워드에도 `SHA-256` 결과가 다른 값을 같도록 만들었습니다.

**참고 사진**

![password](./images/password.png)

#### Q. 암호화를 사용하지 않고 해시함수를 사용한 이유는?

패스워드 저장에 사용되는 암호 알고리즘은 `AES`와 같은 대칭키 알고리즘이 주로 사용됩니다. 즉, **키를 안전하게 보관할 의무가 생긴다는 단점**이 있습니다. 외부로의 유출뿐만 아니라, 키를 알고 있는 관계자는 유저의 패스워드를 확인이 가능한 문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또한, 알고리즘의 시간복잡도를 고려했을 때에도, 암호화보다는 **해시화가 속도가 더 빠르다는 장점을 고려**했습니다.


### 페이징

페이징 처리를 하기 위해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클래스를 생성했습니다. 클래스의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.

```java
@Getter
public class Page {
int recordsPerPage; //한 페이지에 보여질 데이터의 수
int firstPageNo; //첫 번째 페이지 번호 1
int finalPageNo; //마지막 페이지 번호
int currentPageNo; //현재 페이지 번호 x
int prevPageNo; //이전 페이지 번호 x-1
int nextPageNo; //다음 페이지 번호 x+1
int startPageNo; //화면에서 보여지는 맨 왼쪽 페이지 번호
int endPageNo; //화면에서 보여지는 맨 오른쪽 페이지 번호
int sizeOfPage; //화면에서 보여지는 페이지 번호 수
int numberOfRecords; //전체 데이터 개수
int offset; //데이터 offset

List extends CommonDomain> list; //페이지에 저장될 데이터

public Page(int currentPageNo) {
this.currentPageNo = currentPageNo;
this.recordsPerPage = 10;
this.sizeOfPage = 9;
this.startPageNo = 1;
this.endPageNo = 1;
this.finalPageNo = 1;
}

public Page(int currentPageNo, int numberOfRecords) {
this(currentPageNo);
this.numberOfRecords = numberOfRecords;
makePageInfo();
}

public void setList(List extends CommonDomain> list) {
this.list = list;
}

public void setNumberOfRecordsAndMakePageInfo(int numberOfRecords) {
this.numberOfRecords = numberOfRecords;
makePageInfo();
}

public void makePageInfo() {
if(currentPageNo <=0){
currentPageNo= 1; //기본 값 설정
firstPageNo = 1; //기본 값 설정
}

if(recordsPerPage == 0) {
recordsPerPage = 10; //기본 값 설정
}

if(numberOfRecords==0) { //게시물이 없는 경우
return;
}

finalPageNo = (numberOfRecords + (recordsPerPage -1)) / recordsPerPage;

if(currentPageNo > finalPageNo) {
currentPageNo = finalPageNo;
}

startPageNo = ((currentPageNo-1) / sizeOfPage) * sizeOfPage + 1; //한 번에 보여지는 페이지 번호가 3개씩이라면, startPageNo= 1+3x 꼴이 된다.
endPageNo = startPageNo + sizeOfPage - 1;
endPageNo = (endPageNo > finalPageNo) ? finalPageNo : endPageNo;

prevPageNo = (currentPageNo==1) ? 1 : currentPageNo-1;
nextPageNo = (currentPageNo==finalPageNo) ? finalPageNo : currentPageNo+1;

offset = (currentPageNo-1)*recordsPerPage;
}
}
```

![Paging](./images/paging.png)

Page의 멤버변수 중 오해의 소지가 있는 변수는 그림으로 나타냈습니다.

- `startPageNo`, `sizeOfPage`, `endPageNo`를 계산해둠으로써 `Thymeleaf`에서는 단순히 값을 읽고 사용하기만 하면 됩니다. 이 값들을 멤버 변수로 둔 이유는 `유지보수` 때문입니다.

- `Page` 내에 `list`를 두었습니다. `Controller`에서 `Model`에 담을 때 페이지정보, 데이터 정보 따로 담는 것보다, `Page` 하나에 담는 것이 더 편리하다고 생각했습니다. `Page`는 반드시 `list`와 함께 조회된다는 점도 이유 중 하나입니다.

- `List`의 Generic은 `Article` 외에도 `Comment` 등 다른 엔티티가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`CommentDomain`이라는 객체를 두었습니다. `CommentDomain`에는 `registerDate`, `updateDate` 정보가 들어갑니다.


## 이미지 업로드 (글쓰기 - 사진 업로드)

가장 어려웠던 기능 중 하나입니다. `S3`를 이용하지 않았고, 서버의 디스크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구현했습니다. 이미지 업로드에 대한 프로토콜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.

![이미지업로드](./images/이미지업로드.png)

1) 클라이언트는 파일을 서버에 전송합니다.

2)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파일을 디스크에 저장하고, 파일의 메타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, `고유한 URL`을 생성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응답합니다.

3) 클라이언트는 `URL`로 파일을 요구합니다.

4) 서버는 `URL`에 해당하는 파일을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합니다.

이 과정은 **비동기**로 처리됩니다.

### Q. 비동기로 처리한 이유는?

사진을 모아서 한 번에 전송할 경우, **서버의 트래픽이 몰려 일시적인 병목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고 판단**했습니다.

## 이미지 업로드 (저장소,테이블 분리)

앞서 이미지 저장을 비동기로 처리했기 때문에 발생하는 단점이 존재했습니다.

- 작성자가 사진 첨부를 하고 글을 등록하지 않을 때, 무의미한 사진 파일이 디스크에 무차별적으로 쌓인다는 점

- `upload_file`이라는 테이블에 무의미한 데이터가 무차별적으로 쌓인다는 점

두 가지가 제일 근본적인 문제였습니다.

### 디스크 분리

디스크에 사진이 무작위로 쌓이는 경우, 게시물에 종속적인 이미지와 게시물과 무관한 사진을 구분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것을 알게됐습니다.

따라서 저는 업로드 파일의 저장소를 두 군데로 나눴습니다. 글을 작성하기 전에는 `uploadPath`에 저장되며, 글이 완전히 작성된 경우에는 `postPath`로 파일을 복사했습니다. 파일을 복사하는 코스트는 있지만, `uploadPath`를 임시저장소로 사용하기 때문에 게시물과 무관한 데이터만 모여있어 관리가 용이해졌습니다.


폴더에 이미지가 너무 많이 쌓이는 것을 사전에 염려하여, 폴더 구조를 `계층형 구조`로 만들었습니다. `uplaodPath` 밑에 `년/월/일` 형식으로 계층형 구조를 만들어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습니다.

### 데이터베이스 분리

테이블에 사진정보가 무작위로 쌓이는 경우, 불필요하게 테이블이 비대해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. 이런 단점을 고려하여 `upload_file`은 임시 테이블로 사용하고 `post_file` 이라는 테이블을 만들어두었습니다. `upload_file`과 달리 `post_file`은 `article`과 1:N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.


## 사진 GPS정보 지도에 나타내기

![GPS](./images/gps.gif)

사진의 Meta 정보를 추출하여 지도에 경로를 나타내는 기능입니다. 국내에는 `kakao map API`를 사용했습니다. 국외는 `Google map API`를 사용할 예정입니다.

**경로를 나타내는 사진 예시**

![map](./images/map.png)

사진의 메타 정보를 추출하는 라이브러리는 `metadata-extractor v2.13`을 사용했습니다.

클라이언트가 업로드한 사진들은 GPS 정보를 추출하여 `post_file` 테이블에 삽입됩니다. 이후에 `article`을 요청할 때 클라이언트가 작성한 글 순서대로 GPS의 메타정보를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합니다. 클라이언트는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메타정보를 지도에 표시합니다.

### Q. 사진의 시간정보를 활용하지 않은 이유는?

이전에는 사진의 시간정보를 추출하여, 시간 순으로 경로를 나타내려고 했습니다. 하지만 사진의 일부에 시간정보가 없을 경우 경로가 엉망으로 출력될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. 유저가 작성하는 글은 대부분 자신의 경험을 나열하는 것이기 때문에 업로드 순으로 나열해도 충분할 것으로 생각됩니다.


## 좋아요, 북마크, 신고하기

**Ajax**를 이용하여 구현했습니다. 유저가 `좋아요`를 클릭하면, 좋아요 또는 취소를 반영하고, 게시물의 `좋아요의 개수`를 응답하여 **화면의 일부만을 바꿨습니다.**


## 임시저장

Ajax를 이용하여 임시저장을 구현했습니다. `임시저장`버튼을 클릭하면 현재 작성 중인 글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합니다.

- 임시저장글을 임시저장하면 `추가`되지 않고 `업데이트`가 됩니다. 임시저장 시, article에 `id`가 생성됨을 이용하여 구현하였습니다.

현재는 Article에 `status` 라는 컬럼을 두어 `게시글`과 `임시글`을 구분하고 있습니다. 하지만, `게시글`과 `임시글`은 함께 조회되는 로직이 없고, `where`절에서 status를 filter링 하는 코스트를 생각했을 때 테이블을 분리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.

따라서, **임시글과 게시글의 테이블을 분리할 계획을 하고 있습니다.**


## 인기순 정렬

## 댓글

## 해야할 일

1. article을 temp_article과 article로 테이블 나누기

2. article의 category_id를 enum Category 값으로 바꾸고 Category 테이블 삭제하기